공동체와 전환사회 공부모임 지혜나누기
- 한국 생명운동과 문명전환 (주요섭)
이 책은 40년 한국의 생명운동을 다시 보고 다시 쓴 결과물입니다. 과거의 발자취만이 아니라 현재 새롭게 펼쳐지고 있는 다양한 생명운동을 소개하며, “파국적 전환”과 “개벽적 전환”으로서의 또 다른 세계의 태동에 대한 미래 비전을 제시합니다. 저자는 한국의 생명운동을 “문명전환”운동으로 규정하고, 그 전환은 “진보/보수”, “좌/우”, “노동/자본”의 프레임을 넘어서는 새로운 지평을 여는 것으로 설명합니다. 한국 생명운동과 생명사상의 역사는 물론, 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담론을 함께 만날 수 있다는 것은 이 책의 큰 미덕 중 하나입니다. 이 책은 한국 생명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은 독자들뿐 아니라 생명운동을 처음 접하는 미래 세대에게도 훌륭한 지침서가 될 것입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5월 15일, 6월 5일 2회에 걸쳐 토론을 진행한다.
누구나 와서 함께 편안하게 나누시기 바랍니다.
ㅇ 일시 : 1차) 5월 15일 (월) 저녁 8시 30분 / 2차) 6월 5일 (월) 저녁 8시 30분
ㅇ 줌 : https://bit.ly/3Jr8XxS
ㅇ 교재 : 한국 생명운동과 문명전환(주요섭 /도서출판 풀씨)
*문의 : 박재현 소장(010-3270-0548)
<1차 토론>
서문: 생명담론은 재발명되어야 한다
보론: 체계이론과 정동이론
I부 한국 생명운동 다시보기
1장. 한국 생명운동 40년 연대기
2장. 한국 생명운동의 태동과 문명전환
3장. 니클라스 루만으로 본 한국 생명운동
보론: 생! 명! 땅끝에 서서
<2차 토론>
II부 한국 생명사상·생명운동 다시쓰기
4장. “몸-생/명”과 생명사상 다시쓰기
5장. “몸-생/명”과 생명운동 다시쓰기
보론: 또 다른 생명사상·생명운동을 위한 인식론적 허들넘기
Ⅲ부 생명운동과 문명전환: 또 다른 세계의 태동
6장. 코로나19 시대의 생명운동
7장. 영성적 돌파, 대전환 시대의 생명운동
8장. 다시 생명, 또 다른 세계의 태동
보론: “또 다른” 전북은 어떻게 태동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