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상담사례 1 - 착하다 착하다!

시민보살육성 - 불교상담 - 붓다의 상담법 모임 | 2020. 제23

 #1. 착하고 착하다!

 

비구이제 저를 위해 간략히 법을 말씀해 주소서

붓다착하고 착하다비구여너는 즐거운 마음으로저를 위해 간략히 법을 설하여 주소서그렇게 말하였는가.

비구그러하나이다.

붓다자세히 듣고 잘 생각하라내 너를 위해 말하리라만일 번뇌의 사자(使者)를 따르면 곧 그 사자를 따라 죽을 것이요번뇌에 결박될 것이다그러나 번뇌의 사자를 따르지 않으면 그 사자를 따라 죽지 않을 것이요마침내 번뇌에서 해탈할 것이다.

비구세존이시여이미 알았나이다이미 알았나이다.

붓다너는 어떻게 내가 간략히 설명하는 법에서 그 뜻을 널리 알았느냐?

비구물질이 번뇌를 따르면 물질은 그 사자를 따라 죽을 것이요번뇌의 사자를 따라 죽으면 번뇌에 결박될 것입니다이렇게 또 물질이 번뇌의 사자를 따르지 않으면 느낌생각지어감의식 또한 그러하다는 것을 널리 알았나이다.

붓다착하고 착하다비구여내가 간략히 말한 법에서 너는 그 뜻을 널리 알았구나!

[잡아함경 제1권 15. 사경(使經)]

 

 

 

상담방법

이 상담에서 질문, 지지격려와 초점주기반복확인과 같은 상담방법을 볼 수 있다.

착하고 착하다.”, “그 뜻을 널리 알았구나!”와 같이 지지와 격려를 통해 친밀감을 형성한다.

자세히 듣고 잘 생각하라.” 라고 초점을 주어 경청하도록 이끈다. 

착하고 착하다!”는 말과 핵심내용을 반복함으로써 더 깊이 새기고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질문은 중요한데, 질문할 때는 온전하게 내담자에게 집중해야 한다.  질문을 확인하고 이해한 바를 다시 설명할 기회를 줌으로써 상담효과를 확실히 점검하고 깊이 내면화할 수 있게 돕는다.

과정 분석

붓다의 대답은 사실상 아주 간결하다. “번뇌의 사자를 따르지 말라.”는 내용이다.

이 간결한 대답에 질문을 한 비구는 의문이 풀렸다붓다는 간결하게 설명했지만 비구는 그동안 배우고 익혀 온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이 깨달은 바를 설명한다물질느낌생각지어감의식 곧 오온을 적용하여 설명함으로써 구체적이고 확실하게 이해했음을 표현하였다그리고 부처님은 비구의 깨달음을 인정하며 필요한 답을 찾도록 안내하고, 다시 격려한다.

비구가 질문할 때(법을 청할 때)는 풀어야 할 문제가 있는 상황에서 이다. 정서적으로는 불안정하거나 초조하거나 긴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붓다는 '착하고 착하다!'라고 하며, 비구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준다.  

적용

진지하게 답을 구하는 내담자가 있다이런 내담자한테 단순한 격려나 피상적인 지지로 상담을 마치려 하면 곤란하다필요한 답을 찾을 수 있게끔 안내할 수 있어야 한다.

내담자가 알고자 하는 바를 상담자가 정확하게 파악해서 알맞은 대답을 할 수 있으면 순조롭다하지만 질문에 알맞은 답을 하는 과정에서 지지격려초점주기반복확인 같은 상담방법을 잘 섞을 수 있다면 금상첨화다그냥 답만 제시하는 것은 무미건조하고 자칫 그 효과가 지속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라포형성을 위해서는 지지격려 등 정서적 공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담자가 진정으로 내담자한테 집중하면 내담자가 구하는 답을 제시하면서도 내담자의 이해 정도와 실천가능성을 염두에 두게 된다비록 내담자가 요구한 것은 아니더라도 상담자는 내담자가 더 깊이 이해하고 확실하게 실천해서 뚜렷한 효과를 볼 수 있게끔 마음을 쓴다.

그 마음이 지지격려초점주기반복확인 같은 상담방법으로 표현되는 것이다붓다는 아주 자연스럽게 가장 효율성 높은 방법을 써서 대화를 이끈다확실한 이해와 깊은 자비심이 바탕에 깔려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지지상담과 통찰상담을 구분하면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은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따스한 지지와 날카로운 통찰이 조화를 이루며 통합될 때 붓다와 같은 상담을 할 수 있을 것이다아래와 같은 질문을 자신에게 해 보자.

⑴ 대화를 할 때 상대의 마음에 얼마나 관심을 가지는가?

⑵ 서로의 말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며 대화를 하는가?

⑶ 상대방한테 충분한 지지와 격려를 표현하고 있는가?

 

공부 속 공부  _ 사무량심과 사섭법

사무량심(자비희사)은 나를 자비희사의 마음으로 채워서 흘러 넘쳐 타인에게 가 닿도록 하는 수행이다. 여기서 자비희사의 마음이 타인(또는 대상)에게 가 닿도록 하는 길이 사섭법(보시, 애어, 이행, 동사) 이다. 사무량심과 사섭법은 나와 타인의 관계를 풍성하게 하여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 수행실천법이라 할 수 있다.  

 

 


불교상담 - 붓다의 상담법 모임
붓다의 언어는 알아듣기 쉽습니다. 자비의 그릇에 지혜를 담았기 때문입니다. 불교 상담은 붓다의 언어로 펼치는 사랑입니다.
스스로 깨우치고 남들을 깨우치게 안내합니다. 마음이 온전히 통하는 순간 한없는 기쁨이 찾아옵니다.
일상을 이렇게 살 수 있습니다. 함께 찾아보실까요?
편집진 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