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상담강좌 여덟번째(3. 24.) - 연기법과 메타인지

시민보살육성 - 불교상담 - 붓다의 상담법 모임 | 2020. 제18

불교상담강좌 여덟번째(3. 24.) - 연기법과 메타인지

이번 강좌의 주제는 '연기법과 메타인지'입니다.

내가 세상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보면나라는 실체를 전제로 세상과 나를 분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이러한 분리분별은 허위의식을 낳고있는 그대로의 실상을 보지 못하게 됩니다.

붓다께서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으신 내용인 연기법은 불교의 근본진리이며불교적 세계관·인생관을 이룹니다그렇다고 연기는 불교에만 국한된 진리가 아닙니다보편타당한 우주적 진리이자 법칙입니다.

그렇다면 연기란 어떠한 것일까요연기는 존재의 실상으로 존재는 반드시 그것이 생겨날 원인과 조건하에서 연기의 법칙에 따라서 이 세상에 생겨난다는 것입니다원인 없는 결과는 없으며하나의 원인에서 하나의 결과가 생기는 것도 아닙니다모든 존재는 인연에 의해 생겨나며그것은 또 다른 존재에 인연이 되기도 합니다여기서 ''이란 직접적 혹은 일차적인 원인을 말하며, ''이란 간접적 혹은 이차적인 원인을 말합니다말하자면 ''이 원인이라면, ''은 원인으로 하여금 결과를 낳게 하는 조건입니다예컨대 싹은 씨앗으로부터 생겨나지만씨앗이 바로 싹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그것은 수분이나 빛온도공기 등의 일정한 조건하에서만 비로소 싹을 낳게 됩니다.

모든 현상은 끊임없이 생멸변화하고 있으며존재하는 것은 타자와의 관계없이 존재하는 것은 하나도 없으며모든 것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상호 연관되어 있습니다그것은 구체적으로는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고이것이 없으면 저것도 없는 것이다이것이 생김으로써 저것이 생기고이것이 멸함으로써 저것도 멸한다"라는 말로써 단적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연기에는 유전연기(流轉緣起)와 환멸연기(還滅緣起)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유전연기(流轉緣起) _ 4성제에서 고() · ()의 2(二諦)의 관계는 괴로움이라는 결과와 괴로움을 생겨나게 하는 원인으로서의 갈애 또는 망집의 관계로서미혹되게 하고 괴로움을 겪게 만드는 인과관계

환멸연기(還滅緣起) _ 4성제에서 멸() · ()의 2(二諦)의 관계는 모든 괴로움이 소멸된 이상의 경지인 열반의 증득이라는 결과와 열반을 증득하게 하는 원인으로서의 불교의 수행의 관계로서미혹을 벗어나게 하고 괴로움을 벗어나게 하는 인과관계

상담에 비유하면유전연기는 그 문제에 집중해서 문제의 원인을 밝혀 가는 과정이라 한다면환멸연기는 문제를 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내담자를 자아실현으로 이끌어 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서구 심리학은 내가 있다는 유신견에서 출발합니다그러다 보니욕구를 인정합니다문제의 원인을 찾아 제거함으로써 욕구를 만족시키도록 하고자아를 강화하는데 집중합니다그래서 환멸연기를 받아들여 서구심리학이 갖는 유신견의 한계를 극복할 필요가 있습니다환멸연기를 받아들인다는 것은 문제를 근본 원인을 찾아 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함입니다그래서 메타인지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메타인지는 인식에 대한 인식’, ‘생각에 대한 생각’, ‘다른 사람의 의식에 대해 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차원의 생각하는 기술배움혹은 문제해결을 위한 특별한 전략들을 언제 그리고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관한 지식을 포함합니다불교적 표현으로 정리하면, '메타인지'란 내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지 알아 차리는 것이며있는 그대로 보는 것입니다사띠(알아차림)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차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는데이를 잘 알려면 위에서 전체를 봐야 그 막힘의 원인을 알 수 있습니다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메타인지가 작동해야 합니다생각의 전환이 일어나야 합니다.

부부 사이를 메타인지로 보게 되면기존에 보였던 부부만이 아니라부부 사이에 관계 지어진 무수한 인과 연들을 보게 됩니다자녀부모직업경제가치관가족친구이웃사회관습법과 제도 등 매우 다양한 개인적 관계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들까지 부부 사이를 규정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이 관계들은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다어제 다르고 오늘 다릅니다서구심리학은 유신견에 입각하여 이를 고정시키지만연기적으로 보면고정된 것은 없습니다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할 뿐입니다.

메타인지로 봤을 때 비로소 있는 그대로 보입니다문제가 풀어지는 것입니다화를 내는 나를 메타인지로 보세요. '내가 왜 화를 낼까?'하며 다시 떨어져 생각하게 하여 화를 내는 나를 보게 되며화를 내려놓을 수 있게 됩니다.

사람의 80% 정도는 있는 그대로 보고 듣는 것이 아니라믿고 싶은 데로 듣고 본다고 합니다메타인지 훈련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화두를 들거나 호흡을 관찰하는 것도 기존의 습이나 사고를 깨는 것으로 메타인지 훈련하고도 같은 맥락입니다또 일상에서 한발 떨어져 바라보거나 생각하기고정된 사고나 비합리적 사고를 벗어나 있는 그대로의 상황을 재구성하기생각과 감정을 내려놓고 지켜보기 등도 메타인지를 키우는 좋은 방법입니다그러면 상황의 지배를 벗어나 가장 바람직한 대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강좌로 1차 강좌를 마쳤습니다다음부터는 2차 강좌 "불교로 상담이론 이해하기가 시작됩니다주제로는 유식과 분석상담이론중도와 인지행동이론불성과 인본주의이론화두와 초월상담이론 입니다.

다음 2차 강좌의 시작은 4월 7일 화요일 저녁 7, SK허브 101동 622

첫 주제는 '유식으로 보는 분석상담이론 1‘ 입니다.

오셔서 나누시기 바랍니다.

불교상담 - 붓다의 상담법 모임
붓다의 언어는 알아듣기 쉽습니다. 자비의 그릇에 지혜를 담았기 때문입니다. 불교 상담은 붓다의 언어로 펼치는 사랑입니다.
스스로 깨우치고 남들을 깨우치게 안내합니다. 마음이 온전히 통하는 순간 한없는 기쁨이 찾아옵니다.
일상을 이렇게 살 수 있습니다. 함께 찾아보실까요?
편집진 편지
카드뉴스

2025년 2월 소모임 활동 소식

- 신대승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