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불교에니어그램 공부 자료

불교에니어그램 - 신대승네트워크 | 2025. 제1

머리중심


1. 핵심감정 - 두려움

1) 두려움은 왜 생겨나는 것일까요?

-두려움을 가진적이 있었는지, 언제, 어떤 상황에서인지 함께 나눠 봅니다.

-각 개인의 두려움이라는 감정을 체험했던 적을 떠올려 봅니다.

2) 두려움에 사로잡히는 이유 열 가지

몸과 입과 뜻이 청정하지 못하면 분노하는 마음, 증오하는 생각을 가지면 의혹과 의심에 가득 차 있으면 자기를 칭찬하고 남을 경멸하면 겁을 먹고 겁에 질려 있으면 이득과 존경과 명성을 바라고 있으면 게으르고 정진하지 않으면 깊이 새기지 않고 잘 알아채지 못하면 집중하지 못하고 마음이 산란해 있으면 지혜롭지 못하면 악하고 건전하지 못한 두려움과 공포를 일으킨다는 것

-부처님은 위의 열가지로 두려움의 원인을 말씀하셨습니다. 한가지씩 곱씹으며 잠시 머물러 봅니다.

3) “바라문이여, 내가 그곳에서 지낼 때 맹수가 접근하고 공작새가 나뭇조각을 떨어뜨리고 바람이 낙엽더미를 흩날려 보냈습니다. 그때 나는 "사람들이 말하는 바로 그 두려움과 공포가 다가오는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자 내게 곧바로 이런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왜 내가 두려움을 기대해야 하는가? 지금의 자세에서 두려움과 공포를 만난다면, 그냥 그 자세 그대로 두려움과 공포를 제거해야 하리라."(쌍윳따니까야, 두려움의 경)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두려움이란 것은 실체가 없이 어느 사이 슬며시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만다는 것이 바로 두려움을 극복하는 부처님의 방법입니다.

 

2. 욕구: 명예욕

1) 불교에서 말하는 인간의 욕망, 5가지 오욕은 무엇인가요?

식욕, 수면욕, 색욕, 재물욕, 명예욕

2) 오욕중 당신은 어떤 욕구에 집착하고 있나요?

-명예욕은 다른 욕망들에 비해 더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우리 사회는 명예와 지위를 높이 평가 지향하며, 명예욕을 강화한다. 사회적 인정에 대한 욕구는 쉽게 사라지지 않는 편이다.

3) 두려움의 감정과 명예욕의 관계를 생각해 봅시다.

-세상만물에 대한 이치를 이해하고 그 의미를 찾으려는 욕구(명예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의미와 이해를 잃을 때, 강한 불안과 두려움을 경험한다.

 

3. 수행 머리 중심에게 권장하는 수행법

위빠사나, 글쓰기, 자각, 외부세계에 대해 신뢰할 수 없는 마음이기에 마음을 고요하게 해야 함, 집중명상

*불안과 두려움을 감안해서 수행을 제시해야 합니다. 두려움이 실제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개개인은 두려워할 만한 일을 경험했으니 간과하면 안되지요.

 

가슴중심

 

1. 핵심감정 : 수치심

1) 양심(부끄러움)과 수치심(창피함)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양심"은 자기 존중감 때문에 악행을 피하는 것이고, "수치심"은 타인의 눈을 의식하여 악행을 피한다<청정도론>

-부끄러움과 창피함을 모르는 사람은 어떤 일을 저지를지 모른다. 그런 자들에 대하여 숫따니빠따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그를 천한 사람으로 아십시오

2) “수행승들이여, 뭇삶들은 세계와 관계를 맺고 그것과 어울린다. 믿음이 없는 자는 믿음이 없는 자와 관계를 맺고 그와 어울린다. 부끄러움을 모르는 자는 부끄러움을 모르는 자와 관계를 맺고 그와 어울린다. 창피함을 모르는 자는 창피함을 모르는 자와 관계를 맺고 그와 어울린다. 배움이 없는 자는 배움이 없는 자와 관계를 맺고 그와 어울린다. 게으른 자는 게으른 자와 관계를 맺고 그와 어울린다. 새김이 없는 자는 새김이 없는 자와 관계를 맺고 그와 어울린다. 지혜롭지 못한 자는 지혜롭지 못한 자와 관계를 맺고 그와 어울린다.”(믿음이 없는 자의 경, 쌍윳따니까야)

-관계를 중시하는 가슴중심의 사람들은 염두에 두고 자신의 모습을 살펴보는데 마음을 둬야 합니다.

 

2. 욕구: 애욕

1) 세가지 유형의 갈애

-욕애, 유애, 비유애

_불교에서는 갈애를 괴로움의 원인으로 본다.

2) “갈애를 키운 사람은 취착을 키운 것이다. 취착을 키운 사람은 괴로움을 키운 것이다. 괴로움을 키운 사람은 태어남과 늙고 죽음, 우울, 슬픔, 고통, 불쾌, 절망으로부터 해탈하지 못한 것이다. 그들은 괴로움에서 해탈하지 못했다고 나는 말한다.

갈애를 버린 사람은 취착을 버린 것이다. 취착을 버린 사람은 괴로움을 버린 것이다. 괴로움을 버린 사람은 태어남과 늙고 죽음, 우울, 슬픔, 고통, 불쾌, 절망으로부터 해탈한 것이다. 그들은 괴로움에서 해탈했다고 나는 말한다.”(성찰경, 상윳따니까야)

3) 수치심과 애욕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사랑받으려는(애욕) 욕구를 가지고 있고, 관계에서 욕구기 무시되거나 거부될 때 강한 수치심을 느낀다.

 

3. 수행 가슴중심에게 권장하는 수행법

마음챙김, 봉사수행, 자비명상, 상대방의 감정이란걸 알아차림 받아들임, 나 자신에 대한 감사, 있는 그대로 인정하기, 스스로에 대한 진정한 사랑이 부족하기에 자신을 좀 더 존중

*무엇보다 가슴중심의 장점을 살려서 실행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중심

 

1. 핵심감정: 분노

1) 분노의 역기능과 순기능

-분노는 때때로 개인이 성장하는 동력으로 작용하며(분발), 사회적으로도 모순과 부조리를 해결하려는 동력이 되기도 한다.

2) 분노의 개인적인 요인과 사회적인 요인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노의 원인을 개인적인 문제로 접근할 경우 자신이 공정한 대우를 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경우. 분노는 개인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대부분 사회 내부, 사회 구조적 문제와도 연관돼 있다. 물질만능주의와 지나친 경쟁으로 인한 스트레스, 불평등한 사회구조 등도 원인. 그러나 분노의 주체는 개인임을 염주에 두시길

3) “표주박에 기름을 담아 활활 타오르는 불에 부으면 불은 오히려 표주박에 붙어 버린다. 분노도 이와 같이 오히려 착한 마음을 태워버린다. 분노를 없애려면 먼저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증오심을 제거하라. 그러면 분노도 곧 없어지게 될 것이다. 소용돌이치는 물결이 돌고 돌듯이 분노도 그와 같아서 비록 한 때 화가 났다 해도 그것을 마음 속에 두지 않는다면 마음이 상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아함경)-이외에 다름 경전에서도 언급한 부분이 있으면 공유합니다.

 

2. 욕구: 지배욕

1) 분노와 지배욕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자신의 힘과 의지로 모든 상황을 통제하려는 욕구(지배욕)을 가지고 있고, 이것이 방해받거나 통제될 때 강한 분노를 경험한다.

2) “자기 자신을 이기는 자는 싸움터에서 백만 군대에 이기는 자보다 위대한 승리자이다. 모든 타인을 이기는 것보다 자신을 이기는 것이 훨씬 낫다. 싸움터에서 남을 이긴다 해도 언젠가는 질 수도 있다. 그러나 자기 자신을 이기고 자기 자신을 다스리는 자는 영원히 승리자로 남을 것이다.”(법구경)

 

3. 수행: 장중심에게 권장하는 수행법

자애명상, 그 순간 알아차림, 긍정적인 면을 생각할 수 있는 활동, 걷기명상, 이타심, 있는 그대로 사랑하기, 나를 사랑하는 마음, 관찮아, 만트라, 108배절수행, 알아차림명상

* 장중심은 에너지를 분출하는 하게 도와주는 것이 우선입니다.



신대승네트워크
신대승네트워크는 붓다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나를 바꾸고 우리를 바꿔 서로를 살리는 차별과 소외가 없는 공정ㆍ공평ㆍ공유의 생명 중심 사회를 추구하는 대안운동공동체
평생 도반으로서 함께 향상일로向上一路하는 깊은 숙성의 길을 가고자 합니다.
편집진 편지
카드뉴스

2025년 2월 소모임 활동 소식

- 신대승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