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대승네트워크 2월 어울림법석
2025년 법석 운영에 있어서 우리의 삶과 연관된 불교 안팎의 의제나 수행(신행), 이슈 등에 대해 외부 선지식을 초청해 지혜를 구하고, 신대승네트워크의 외연을 확장하는 한편, 지난 10년 간 쌓아온 신대승네트워크 내부의 활동 역량과 결과를 공유하고 확산하는 자리를 마련하기로 하였습니다.
이에 2월 법석은 마침 불교적 관점에서 생명과 자연(권)을 학습하고 논의해온 “자연권을 생각하는 불자모임 자생불”에서 다음과 같이 대화마당을 추진하고 있어, 2월 법석을 자생불의 대화마당에 참여하여 뷸교의 자연권 관련 실천방안을 함께 모색하기로 하였습니다.
▢ 행사 개요
○ 주제: 불교! 자연과 자연권을 말하다.
○ 일시: 2025년 2월 8일 (토) 오후 2시–오후 5시
○ 장소: 대한불교조계종 전법회관 선운당(지하교육장)(온라인 줌 동시 진행)
▪Zoom 주소 : https://bit.ly/4hkbidw
○ 주최: 신대승네트워크 / 불교환경연대
○ 주관: 자연의 권리를 생각하는 불자들의 모임(자생불)
▢ 프로그램
구성 | 주 제 | 발표자 |
발제 1 | ▪생태윤리와 불교 | 박병기(한국교원대 교수) |
발제 2 | ▪지구종교론에 관한 논의의 전개와 불교의 과제 | 정성운(불교환경연대 운영위원장) |
발제 3 | ▪외국의 자연권 입법 사례와 대한민국 헌법의 한계와 과제 | 전정환(변호사) |
소그룹 토론 | ▪생태위기 해결을 위한 불교적 실천방안 모색 | 참여자 소그룹 토의 및 공유 |
종합토론 | ▪종합 정리 | |
○ 프로그램 운영(3시간)
▪발표 60분(각 20분)
▪소그룹 토론 1시간 30분
▪종합토론 30분
<자연권을 생각하는 불자모임 “자생불”>
2020년 12월 조류독감(AI) 발생으로 수천만 마리의 가금류가 살처분 되는 것을 목격하고, 생명 존중을 첫째의 계율로 여기는 불자로서 동물 살처분에 대해 죽임 이외의 대안은 없는지 길을 찾기 위해 2021년 3월 ‘동물살처분 대안연구실천모임’을 결성하였습니다. 모임 결성 후 카라 등 시민사회단체들과 함께 가축전염병예방법 살처분 관련 법령 개정 추진, 정부 광화문청사 앞 살처분 동물 천도제 봉행, 채식 권장 손수건 제작․배포 등의 활동과 관련 논문과 자료 등에 대한 대안연구활동을 전개하여 오다가, 동물 살처분의 문제가 인간중심주의와 분별적 이원론에 기인한다고 정리하면서 주체로서의 자연과 자연권 실현을 위해 2023년 3월 ‘자연의 권리를 생각하는 불자들의 모임’으로 확대 재편하여 대안 마련과 실천 활동을 전개해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