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불 지혜나눔 주제 "지구종교론" 두번째
자생불에서는 "지구종교론"에 대해 살펴보고 있습니다.
지구종교론을 다루는 이유는 6차 대멸종의 위기를 낳은 인간중심주의와 이분법적 사유를 해체하고, 연기적 사유로서 세계를 바로 보기 위함입니다. 지구종교론은 지구를 단순한 행성이나 자연 환경으로 보는 것 이상으로, 살아있는 유기체로서의 생명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며, 모든 존재들이 지구와의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특히 전통적인 종교, 원시 신앙, 신흥 영성 운동 등 다양한 종교적 전통과의 융합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지구종교론은 지구 전체를 하나의 커다란 공동체로 보기에, 인종, 민족, 국가 등의 경계를 넘어선 인류의 일원으로서 지구와 함께하는 삶을 강조합니다. 일상 속에서 지구를 존중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며 살아가는 것을 강조합니다.
첫번째로 지구윤리로서의 유교(이희재, 한국사상과 문화 제37집)과 지구를 모시는 종교 -동학과 원불교의 천지론을 중심으로-(허남진, 조성환,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제88집) 두 논문을 살펴보았습니다.
지구윤리로서의 유교에서는 유교의 윤리는 절대자의 존재를 상정하는 것이 아닌 인간중심의 윤리이며, 세속적인 가치라고 합니다. 영원한 윤리로서 오상(五常. 仁·義·禮·智·信의 다섯 덕목)이 제시되고, 인, 인의 실천원리인 충서 그리고 중용의 원리는 황금률로 인류공동의 가치관념으로 훌륭한 효용이 있기에 지구윤리로서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유발 하라리는 지구적 위기의 시대로 지구적 차원의 해결책을 강구하는 ‘사고의 전환’ 과 새로운 지구적 정체성의 필요를 주장합니다. 이에 "지구를 모시는 종교"에서는 서구에서 1990년대부터 지구학(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 등을 국가 단위가 아닌 지구 단위로 확장하고자 하는 학문적 시도)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등장한 반면, 이미 1900년대에 한국의 전통사상을 지구인문학 관점에서 재해석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실재 근대 개벽종교 사상가들, 해월, 소태산, 정산 등은 지구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통해 지구공동체론을 발전시켜 왔고, 현대의 지구종교와 지구윤리로 자리매김될 수 있는 사상자원으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동학과 원불교를 "지구를 모시는 지구종교"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동학에서는 해월 최시형의 천지부모론을 통해 천지공경사상을 주창하였고. 원불교 역시 천지를 부모와 스승으로 모시면서 은혜로운 존재로 여기는 천지은(天地恩) 사상을 핵심교리로 삼고 있다. 이들의 천지론은 동아시아의 전통적 우주론에 기원하고 있는데, 특히 원불교의 천지론은 동아시아사상과 인도불교가 융합된 "동아시아적 불교"의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동학과 원불교는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인식하면서 공경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지구를 모시는 "지구종교(Earth religion)"로 규정될 수 있고, 원불교 사상가 정산 송규가 제창한 ‘삼동윤리’는 인간중심적인 윤리를 넘어서고 있다는 점에서 "지구윤리"로 자리매김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관심 있는 이 누구나 오셔서 함께 나누시기 바랍니다.
○ 일시 : 9월 9일 (월) 저녁 6시 30분
○ 장소 : 우리함께빌딩 304호
○ 다룰 자료
- 세계시민사회와 지구적 윤리, 이동수 손혁상. 한국정치연구 17-1. 2008
- 지구공생체 시론, 조성환, 한국종교 제56집. 2023. 09-31쪽
*자료 보기 : https://cafe.daum.net/buddhism-life "자료실 8"
○ 문의 : 신대승네트워크 010-3270-0548 / chogye67@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