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게 나마 좋은 글 읽을 수 있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아오잉 |
2025-04-16 |
웃기는 소리 하고 있네. 한국인들은 단지 인내심이 부족할 뿐이야. 내 평생 에어콘 안 쓰고 살았다. 해왜 살 때도 일부러 에어콘 안 썼고, 친구들 중에도 에어콘 쓰는 사람은 소수였다. 지금도 당연히 선풍기 하나로 버틴다. 한국인들은 세계에서 에너지 소비가 극심한 나라 중 하나이며, 그 핑계를 전부 외부로 돌리고 있다. 당연히 여기서 언급한 의료인들도 한국인이니 에어콘 권장했겠지. 이렇게 인내심이 부족하니 뭘 해도 안되지. |
나그네 |
2023-07-30 |
안녕하세요. 저는 전주에 거주하는 58년생 퇴직자 입니다. 명상지도자 자격증을 따고 싶어 문의드립니다.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김창배 |
2022-06-27 |
한편으로 과학기술의 발전을 담아내지 못하는 무지라는 말씀에도 뼈저리게 공감합니다. 현대인에게는 상식이 되어버린 무아나 공사상을 무슨 대단한 금과옥조처럼 받드는 것은 시대착오적입니다. 옛날 인도정통파 사상이나, 특정 부파의 사상에 대해서만 의미있는 주장이죠. 또한 미신에 가까운 윤회나 업사상을 글자 그대로 믿거나 심지어 불교신자의 징표로 삼는다거나 하는 시대에 뒤떨어진 교리 이해로는 현대사회를 선도하는 대안적 세계관을 만들어낼 수는 없을 것입니다. 낡은 교리는 폐기하고 새로운 사상은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없다면 불교는 계속 뒤떨어진 채 남을 것입니다. |
neti_neti |
2021-01-25 |
글 잘 읽었습니다. 대승불교를 새롭게 혁신한다는 문제의식에 공감하고 신대승 운동의 배경에 대한 진단에 동의합니다. 그러나 대승불교에 대한 역사적 이해 자체는 결여되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대승불교 발생의 근본원인에 대한 이해 없이는 이를 혁신하고자 하는 신대승운동도 그 방향성을 확립할 수 없을 것입니다. 글쓴이가 말씀하셨듯, 대승불교가 대중의 생활과 멀리 떨어진 채 학문연구와 논쟁에 몰두한 부파불교를 비판하는 재가자 중심의 불교라는 설은 이미 낡은 설이 되었습니다. 많은 연구자들은 대승불교가 세속화한 부파불교에 대한 출가자 집단의 반발로 시작한, 초기불교에서 보듯 고행에 가까운 수행자로 돌아가자는 운동이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명확히 인식한다면, 대승불교의 본질과 신대승 운동에 대한 문제의식도 달라질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
neti_neti |
2021-01-25 |
내용 공유해 주셔서 감사히 읽었습니다. _()_ |
해뜨는곳 |
2020-07-29 |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홍창성 |
2017-08-19 |
우리역사에 대한 유익하고 흥미 있는 글 잘 읽었습니다. |
콘츠 |
2017-04-19 |
소승(초기)불교의 도발보다 더욱 더 심각한 문제는 한국 대승불교와 선불교에 \"깨친 선지식\"이 없다는 사실.
1500년 전 선어록이나 공안을 고대로 가져다가 녹음기나 앵무새처럼 반복하고. 4~5년짜리 법문 노트를 만들고 20년째 반복중.
선불교의 선어록이나 공안에 대해서 질문하면 꾸짖고 나무라고... 화두의심이나 챙기라는 답변.
이런 스님을 깨친 선지식이라고 자타공인하는 현실.
깨쳤다면 어째서 응용과 활용을 못할까요?
깨쳤다면 어째서 자기만의 공안이나 선어록이 없을까요?
깨쳤다면 어째서 새로운 방편 제시를 못할까요?
깨쳤다면 어째서 수십년째 자기 제자들중에(수천명의 제자) 깨친자가 안나올까요?
.
.
.
.
저는 이분들이 전혀 근본자리(견성)는 구경도 못한 분이라고 말합니다.
그 증거를 100가지이상 제시해서 책으로 낼 수도 있습니다.
한국 불교 너무나 기가 막힙니다.
개인적으론...스님들의 도박 술,고기,여자 문제는 신경도 안씁니다.
제발!! 스님들 정신차리고, 견성성불해 주세요!
다음 불교 카페 능선암 주인장 |
조주 |
2017-03-22 |
감사합니다. |
김광수 |
2017-02-16 |